직무부트캠프 1주차 강의에서 들었던 내용에 대해 대략적으로 정리해보았다.
멘토님과 1:1 면담을 하는 아이스브레이킹 시간을 가짐으로써 본인이 어떤 상태인지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고 다른 사람들이 어떤 고민을 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후, 네트워크에 대한 핵심적인 개념을 설명 들었는데 네트워크가 일반적으로 개발자들이 공부를 하면 맨 마지막에 공부를 하는 약간 소외(?)된 부분일 수 있는데 이 네트워크를 잘 이해하고 있다면 직무를 알고 선택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네트워크
클라우드
클라우드란? 사진을 저장하는 곳인가? 공중에 떠있는 것인가?
=> 둘 다 Nope!
요즘 클라우드가 대세라고 하지만
- 대부분의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쓰고 있는 것은 아니다.
- 우리나라 기준 클라우드를 30% 정도 사용하고 있다. (클라우드로 전환을 하고 있는 중이다.)
- 데이터 센터를 서버로 쓰고 있는게 온프렘
* 온프레미스(On-premise)란? 기업의 서버를 클라우드 같은 원격 환경에서 운영하는 방식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클라우드 제공 업자
=>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Naver Cloud, 등...
- AWS: 현재 독과점. (전산직은 AWS와 Azure를 구분해서 알아놓는게 좋다.)
- Microsoft Azure: AWS에 차별성을 두기 위해 보완에 초점을 맞춤. 미국 국방부를 따왔음. 공기업에서 에저를 사용하기 시작함.
- Google Cloud: 데이터 분석 쪽에 대해 초점을 맞춤.
- Naver Cloud
* 모든 IT는 시간, 성능, 보완에 관점을 접근을 한다.
* IT에서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기술적인 부분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더러 사람과 사람 사이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 개발자는 서비스 로직을 최종적으로 구현하는 사람이며, 어떻게 하면 안정적으로 잘 만들 수 있을까를 결과로 표현해내는 사람이다.
https://aws.amazon.com/ko/getting-started/fundamentals-core-concepts/
네트워크
취업을 당락을 좌지우지하진 않지만 "네트워크"를 알면 어떤 직무를 어떤 관점으로 볼 지 알 수 있다.
- 땅을 계약: AWS 가입하기 public cloud
- 건물을 세움: VPC virtual private cloud
- 공간 나누기(~호): subnet
- 책상: 서버(EC2)
=> 백엔드 개발자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서버이다. 옛날에는 백엔드 개발자가 개발만 했지만, 개발하는 공수 자체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남는 시간에 서버를 공부한다. 서버를 정말 잘 다룰 수 있어야하지 진정한 백엔드 개발자가 된다.
*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 IP
- 건물주소: VPC IP 대역대
- 상세주소: subnet IP 대역대
=> 반드시 subnet IP 대역대는 VPC IP 대역대에 속하는 관계가 만들어져야함.
- 바깥세상: 인터넷
- 현관문: 인터넷게이트웨이
- 도어락: routing/router/routing table
=> 건물에 인터넷게이트웨이를 만들고 인터넷게이트웨이에 도어락을 만들어야함. 순서를 반드시 정해야함.
- 책상잠금: 보안그룹(security group)
IP가 생긴 형태 => _._._._
0~255.0~255.0~255.0~255 /CIDR(사이더)
1~32(
0은 1부터 255까지 올 수 있다는 뜻을 의미함. 1~255.1~255.1~255.1~255
* 데이터의 핵심은 분산처리/빠른 속도 안에 처리를 할 수 있는게 핵심
* 어떻게 빠르게 처리하냐? 나눠서 처리한다.
* 나눌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EC2를 나눠야하고, EC2는 VPC에 속해있으니 VPC를 잘 나눠야하고, 또 이는 AWS에 속해있기 때문에 AWS를 잘 설계하면 된다..!
* PM 같은 경우 문서화를 잘해서 그림과 같은 네트워크를 그릴 수 있어야한다.
* 엔지니어 직무의 기초는 리눅스이다.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
'알아두면쓸데있는신기한잡학사전 > 직무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웹 서버 지우기 복습 (0) | 2022.08.07 |
---|---|
[직무부트캠프] 3주차 세션 정리(About 서버) (0) | 2022.08.04 |
[직무부트캠프] 2주차 과제(웹 서버 배포) (0) | 2022.08.01 |
[직무부트캠프] 1주차 과제(웹페이지 기획하기) (0) | 2022.07.26 |
[직무부트캠프] 1주차 과제(AWS 계정 만들기, 웹 서버 만들기, EC2 추가기능 사용, 리소스 삭제, 웹 페이지 기획)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