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사관학교정글4 [PintOS] Project 1: Threads (Alarm clock, Priority Scheduling) & 회고 SW Jungle WEEK08 (2022.11.10 ~ 11.16) PROJECT 1: THREADS WIL (Weekly I Learned) 11.10 목 작업환경 세팅 (EC2, Ubuntu18.04) + repo 생성 PintOS project Git Book 읽기 11.11 금 KAIST 권영진 교수님 OS 강의 공부로 도망치지 마세요. from 코치님 11.12 토 PintOS 전반적인 코드 파악 /threads/init.c /threads/thread.c /lib/kernel/list.c & /include/lib/kernel/list.h /tests/threads/tests.c /threads/synch.c 11.13 일 Alarm clock 구현 Alarm Clock이란? 호출한 프로세스를.. 2022. 11. 18. [Web proxy-lab] tiny server, proxy 구현 Study for Web-proxy in Notion Web-proxy lab CS:APP 11장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choidabom.notion.site Source code Web-proxy in Github GitHub - choidabom/webproxy-lab: WEEK07: tiny webserver, proxy WEEK07: tiny webserver, proxy . Contribute to choidabom/webproxy-lab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022. 11. 10. [Malloc-lab] 동적 메모리 할당기(Dynamic Memory Allocator) 이해 과정 ※ 이 글은 Why(왜)와 ?(물음표)를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 이해의 과정을 나열한 것이기 때문에 순서대로 천천히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 목차 1. Dynamic Memory Allocation을 하는 이유 2. Dynamic Memory Allocator는 어떤 역할을 하기에 중요한가? 3. Dynamic Memory Allocator는 어디에서 memory를 가져와서 할당해주고, 반납해주는가? 4. 할당기와 가용리스트 확실히 하기 (명시적 vs 묵시적) 5. Dynamic Memory Allocator를 만드는 이유 👩💻 6. Dynamic Memory Allocator를 실제로 구현할 때 어떤 것들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는가? 7. Dynamic Memory Allocator 만들기.. 2022. 11. 2. [WEEK01] 개발일지 (부제: 알고리즘 start) ※ 개발일지가 아니라 일기일 수도 있는 점 양해바랍니다. 오전, 오후, 새벽이 모두 담겨있어요.※ ※ WEEK 시작인 매주 목요일에 업데이트 됩니다. 많.관.부 ※ DAY01 22.09.22 (목) WEEK00의 끝과 새로운 시작 GJ님과 SW님의 도움과 헌신 아래 3일만에 프로젝트 하나를 완성했다. 그래도 힘들게 했던 프로젝트이기에 리드미를 작성했다. WEEK00을 무사히 끝마치고 WEEK01 발제를 한 뒤 예상에도 없던 회식을 하였다. 코치님, 대표님, 의장님과 술을 한 잔을 하고, (한 잔이 아니였..) 얼른 동기들끼리 친해져서 모르는 것도 빨리빨리 물어보라는 명확한 의도의 술자리였다. 정말 덕분에 거의 대부분의 동기들과 안면과 말(?)을 텄고, 친해질 수 있었다. DAY02 22.09.23 (금).. 2022. 9.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