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tos4 [PintOS] Threads 다시 보다가 문맥교환(Context Switching) 이해하기 Gitbook Project 1: Understanding Threads를 다시 읽어보았다. https://casys-kaist.github.io/pintos-kaist/project1/introduction.html 내가 이해했던 부분을 적은 것이기 때문에 흐름이 오락가락 할 수 있다. When a thread is created, you are creating a new context to be scheduled. You provide a function to be run in this context as an argument to thread_create(). The first time the thread is scheduled and runs, it starts from the beginning .. 2022. 12. 7. [PintOS] AWS에서는 되는데 WSL에서 출력 결과가 터지는 경우 팀원의 우분투(AWS)에서는 출력이 잘 되지만 나의 우분투(on WSL)에서는 계속 터지는 경우가 발생했다. 권한 문제일 수도 있다는 미스터 CW의 판단 아래 읽고, 쓰고, 실행하는 권한을 수정해준 이후 더이상 터지지 않는다. 1. WSL의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https://aorica.tistory.com/155 [ WSL ] 비밀번호 재설정 방법 WSL에서 root 계정이나 다른 계정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재설정 하는 방법입니다. 1.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들어가셔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저는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것 aorica.tistory.com root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한 이후에 su 명령어를 통해 WSL의 root로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WSL의 비.. 2022. 11. 22. [PintOS] Project 2: User Programs 큰 그림 그리기 Project 2: User Programs💡Git book Introduction Background & Our goal PintOS Project 1에서 실행했던 Alarm clock, Scheduling 등 모든 코드는 OS 커널의 한 부분이었다. 구현했던 코드들은 커널의 일부로서 시스템에 중요한 부분에 접근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실행되었던 것이다. 테스트 코드 또한 직접 컴파일 했었다. 이제 Project 2에서는 유저 프로그램을 실행할 부분을 작업할 시간이다. 해당 PintOS 코드에서 유저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본 코드들은 이미 있지만, 이 코드로는 I/O나 상호작용이 가능하지 않다. 즉, 프로그램이 시스템 콜을 통해서 OS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한다. OS 위에.. 2022. 11. 20. [PintOS] Project 1: Threads (Alarm clock, Priority Scheduling) & 회고 SW Jungle WEEK08 (2022.11.10 ~ 11.16) PROJECT 1: THREADS WIL (Weekly I Learned) 11.10 목 작업환경 세팅 (EC2, Ubuntu18.04) + repo 생성 PintOS project Git Book 읽기 11.11 금 KAIST 권영진 교수님 OS 강의 공부로 도망치지 마세요. from 코치님 11.12 토 PintOS 전반적인 코드 파악 /threads/init.c /threads/thread.c /lib/kernel/list.c & /include/lib/kernel/list.h /tests/threads/tests.c /threads/synch.c 11.13 일 Alarm clock 구현 Alarm Clock이란? 호출한 프로세스를.. 2022. 11.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