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5

[Git] 깃 커밋 컨벤션 종류 git commit과 push는 이제 눈 감고도 할 수 있지만, 커밋 메시지에 [FEAT] 만이 난무한 나의 깃로그를 보았다.. 분명 수정사항과 추가사항이 섞였음에도 불구하고 "[FEAT] abstract class의 추상 메서드와 하위 클래스 구체적 구현" "[FEAT] materialCheck 수정" 그저 feat 밭이다... 그러던 와중 깃 컨벤션을 발견했다. git 커밋 컨벤션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fix: 버그 수정 build: 빌드 관련 파일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chore: 그 외 자잘한 수정에 대한 커밋 ci: CI 관련 설정 수정에 대한 커밋 docs: 문서 수정 style: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 코드 변경이 없는 경우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test: 테스.. 2023. 4. 26.
[Git] git 로컬 저장소에 원격 브랜치 가져오기 💡 git 로컬 저장소에 원격 브랜치 가져오기 💡 VS code로 git clone을 했을 때 main 브랜치가 아닌 다른 브랜치에서 작업해야하는 경우가 있었다. 해당 브랜치를 로컬 저장소에서 git checkout origin/브랜치명 했을 경우 작업이 온전히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1. 원격 브랜치 업데이트 먼저, 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들을 로컬 저장소에 업데이트 해야한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 가져오고 싶은 브랜치를 확인하고, 로컬 저장소 목록을 업데이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git remote update git branch -r # 원격 브랜치 확인 git branch -a # 모든 브랜치 확인 2. 원격 브랜치 가져오기 t 옵션은 로컬에서 원격 브랜치를 tracking 하겠다는 의미이다.. 2023. 4. 14.
[Git] git conflict(충돌)시 강제로 pull 하기 💡 git conflict(충돌)시 강제로 pull 하기 💡 git pull을 하지 않고 push를 했을 경우나 여러 버전이 섞이면서 충돌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 local의 버전이 없어져도 괜찮을 경우 강제로 pull하는 명령어이다. git fetch --all git reset --hard origin/master git pull origin master 2022. 12. 7.
[Git] remote branch 가져오기 로컬에서 원격의 브랜치를 찾을 수 있도록 갱신 git remote update 브랜치 확인 # 원격 저장소 확인 git branch -r # 원격 + 로컬 저장소 확인 git branch -a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가져오기 git checkout -t origin/브랜치명 2022. 11. 11.
[Git] Git 협업 필수 작업 - branch, issue, PR git으로 협업하기 위해 사용했던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1. 먼저, 작업할 레포지토리(다른 사람의 Github repository)를 fork 한다. fork ? : 다른 사람의 Github repository에서 내가 어떤 부분을 수정하거나 추가 기능을 넣고 싶을 때 해당 respository를 내 Github repository로 그대로 복제하는 기능이다. 그럼 내 깃허브에 fork한 레포지토리가 생성된다. 내 깃허브에 나만의 레포지토리로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수정하거나 추가를 해도 원본 레포지토리에 영향이 없다. 2. fork한 레포지토리를 IDE에서 clone 한다. git clone [repo url] clone한 레포지토리를 각자의 IDE에서 코드 작업하면 된다. 3. 수정.. 2022.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