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범하게

[클린코드] 24일차 - 창발성은 단순한 설계 규칙으로부터 본문

알아두면쓸데있는신기한잡학사전/독서일지

[클린코드] 24일차 - 창발성은 단순한 설계 규칙으로부터

대범하게 2023. 11. 19. 22:54
반응형

[클린코드] 24일차 - 창발성은 단순한 설계 규칙으로부터 

클린코드 24일차 (p. 216 ~ 223 (12장) )

12장 창발성

창발성이란 ?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것이 어느 순간 갑자기 나타나는 것

1. 창발적 설계로 깔끔한 코드를 구현하자 

착실하게 따르기만 하면 우수한 설계가 나오는 간단한 규칙 네 가지가 있다면 ? -> 네 가지 규칙이 창발성을 촉진한다면 ?

켄트 백은 다음 규칙을 따르면 설계는 '단순하다'고 말한다.

 

1) 모든 테스트를 실행한다.

2) 중복을 없앤다.

3) 프로그래머 의도를 표현한다.

4) 클래스와 메서드 수를 최소로 줄인다. 

 

위 목록은 중요도 순이다. 

2. 규칙 1: 모든 테스트를 실행한다. 

9장 단위 테스트에서도 했던 말이지만 테스트는 중요하다.

 

테스트가 있어야 검증이 가능하고 변경이 쉬워진다.

 

왜 테스트를 실행하면 우수한 설계가 나온다고 할까?

 

테스트를 실행하려면 테스트가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테스트를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려고 노력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코드의 품질이 높아진다.

 

결합도가 높은 시스템은 테스트하기가 어려운데 이를 해결하려고 SRP, DIP, DI, 추상화 등 다양한 도구를 계속 적용하다보면 자연스럽게 품질이 높은 코드가 나오게 된다.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고 계속 돌려라' 라는 단순한 규칙을 따르면 낮은 결합도와 높은 응집력을 갖는 객체 지향 코드가 나온다.

 

3. 규칙 2: 중복을 없앤다. 

테스트 케이스를 모두 작성했다면 이제 코드와 클래스를 정리해도 괜찮다.

 

코드를 점진적으로 리팩터링 해나간다. 코드를 정리하면서 시스템이 깨질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테스트 케이스가 있으니까!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건 바로 중복을 없애는 것이다!!

 

4. 규칙 3: 프로그램어 의도를 표현한다. 

코드는 개발자의 의도를 분명히 표현해야 한다.

 

개발자가 코드를 명백하게 짤수록 다른 사람이 그 코드를 이해하기 쉬워진다. == 결함 down & 유지보수 비용 down

 

1) 좋은 이름을 선택한다. - 유지보수 담당자를 놀라게 해서는 안 된다. 

 

2) 함수와 클래스 크기를 가능한 줄인다. - 작은 클래스와 작은 함수는 이름짓기도 쉽고, 구현도 쉽다.

 

3) 표준 명칭을 사용한다. - 다른 개발자가 클래스 설계 의도를 이해하기 쉬워진다. 

 

4) 단위 테스트 케이스를 꼼꼼히 작성한다. - 테스트 케이스는 소위 '예제로 보여주는 문서'이다. 잘 만든 테스트 케이스를 읽어보면 클래스 기능이 한눈에 들어온다. 

 

5. 규칙 4: 클래스와 메서드 수를 최소로 줄인다. 

목표는 함수와 클래스 크기를 작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시스템 크기도 작게 유지하는 데 있다. 

 

하지만 간단한 설계 규칙 네 개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낮다.

다시 말해, 클래스와 함수 수를 줄이는 작업도 중요하지만,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고 중복을 제거하고 의도를 표현하는 작업이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결론

경험을 대신할 단순한 개발 기법이 있을까? 당연히 없다.

하지만 단순한 설계 규칙을 따른다면 우수한 기법과 원칙을 단번에 활용할 수 있다.

 

이번 12장은 1~11장에서 해왔던 얘기를 간단하게 압축한 내용이다. 

13장부터는 어려우니 마음에 준비를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