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범하게

[클린코드] 14일차 - 객체(자료숨김), 자료구조(자료공개) 본문

알아두면쓸데있는신기한잡학사전/독서일지

[클린코드] 14일차 - 객체(자료숨김), 자료구조(자료공개)

대범하게 2023. 11. 8. 01:16
반응형

[클린코드] 14일차 - 객체(자료숨김), 자료구조(자료공개)

클린코드 14일차 (p. 123~128(6장) / 129~131(7장) )

6 객체와 자료 구조

(복습)

1. 자료의 추상화

- 구현을 감추려면 추상화가 필요하다.

 

2. 자료/객체 비대칭

- 객체는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기고,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한다.

- 자료 구조는 자료를 그대로 공개하고, 별다른 함수는 제공하지 않는다.

 

- 새로운 자료 타입 필요: 클래스와 객체 지향 기법이 가장 적합

- 새로운 함수 필요: 절차적인 코드와 자료 구조가 좀 더 적합


3. 디미터 법칙

- 디미터 법칙은 잘 알려진 *휴리스틱(heuristics)으로,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는 법"이다.

- 휴리스틱의 의미를 다시 되짚어보면.. "경험적인, 스스로 발견하게 하는" 이라는 뜻이다.

 

- 객체는 자료를 숨기고 함수를 공개한다. (즉, 조회 함수로 내부 구조 공개하면 안 됨.)

- 위 객체에서 허용된 메서드가 반환하는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하면 안 된다. 

 

- 다음 코드는 객체의 메서드를 중첩해서 호출하므로 디미터 법칙을 어긴다.

final String outputDir = ctxt.getOptions().getScratchDir().getAbsolutePath();

 

1) 기차 충돌

- 위와 같은 코드를 (여러 객차가 한 줄로 이어진 기차처럼 보이기 때문에) 기차 충돌 train wreck이라 부른다. 

- 다음 코드를 보니 마음이 편안해진다.. 이게 바로 휴리스틱heuristics (?)

Options opts = ctxt.getOptions();
File scratchDir = opts.getScratchDir();
final String outputDir = scratchDir.getAbsolutePath();

기차 충돌 코드와 휴리스틱을 느낀 코드

 

그런데 두 코드 예제 모두 *디미터 법칙을 위반할까?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

 위 예제가 디미터 법칙을 위반하는지 여부는 ctxt, Options, ScratchDir이 객체인지 자료 구조인지에 따라 달렸다.

 

왜냐 ????

- 객체라면 당연히 내부 구조를 숨겨야하므로 확실히 디미터 법칙을 위반.

- 자료 구조라면 당연히 내부 구조를 노출하므로 디미터 법칙 적용되지 않음.

 

위 예제는 조회 함수를 사용하는 바람에 혼란을 일으켰다. (객체인지 자료구조인지도 모르고 일단 휴리스틱은 Nope..!)

자료 구조는 무조건 함수 없이 공개 변수만 포함하고, 객체는 비공개 변수와 공개 함수를 포함한다면 간단하다.

휴리스틱을 느꼈지만 디미티 법칙을 어길 수 있다 ? 와 객체/자료구조의 특성 때문임을 알게됨 ..!

 

2) 잡종 구조

- 절반은 객체, 절반을 자료 구조인 잡종 구조가 있다.

-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도 있고, 공개 변수나 공개 조회/설정 함수도 있다.

- 어중간하게 내놓은 설계에 불과하다. 지양하자.

 

3) 구조체 감추기

- ctxt, Options, ScratchDir가 객체라면, 앞선 코드처럼 줄줄이 사탕으로 엮어서는 안 된다.

- 객체라면 내부 구조를 감춰야 하니까.

 

4. 자료 전달 객체 DTO

- 자료 구조체의 전형적인 형태는 공개 변수만 있고 함수가 없는 클래스이다.

- 이런 자료 구조체를 자료 전달 객체 DTO라 한다. 

- 흔히 DTO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되지 않은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사용할 객체로 변환하는 일련의 단계에서 가장 처음으로 사용하는 구조체이다.

 

- 좀 더 일반적인 형태 bean 구조체이다.

- 빈은 비공개 변수를 조회 getter /설정 setter 함수로 조작한다.

public class Address {
	private String street;
	private String streetExtra;
	private String city;
	private String state;
	private String zip;

	public Address(String street, String streetExtra, String city, String state, String zip) {
		this.street = street;
		this.streetExtra = streetExtra;
		this.city = city;
		this.state = state;
		this.zip = zip;
	}
	
	public String getStreet() {
		return street;
	}

	public String getStreetExtra() {
		return streetExtra;
	}

	public String getCity() {
		return city;
	}

	public String getState() {
		return state;
	}

	public String getZip() {
		return zip;
	}
}

 

1) 활성 레코드

- 활성 레코드는 DTO의 특수한 형태이다.

- 공개 변수가 있거나 비공개 변수에 조회/설정 함수가 있는 자료 구조지만, 대개 save나 find와 같은 탐색 함수도 제공한다. 

- 활성 레코드는 자료 구조로 취급하고, 비즈니스 규칙을 담으면서 내부 자료를 숨기는 객체는 따로 생성해야 한다.

 

결론

객체는 동작을 공개하고 자료를 숨긴다.

그래서 기존 동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객체 타입을 추가하기는 쉬운 반면, 기존 객체에 새 동작을 추가하기는 어렵다.

 

자료구조는 별다른 동작 없이 자료를 노출한다.

그래서 기존 자료구조에 새 동작을 추가하기는 쉬우나, 기존 함수에 새 자료구조를 추가하기는 어렵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