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ort (port number) was already in use
기록하지 않으면 단기 기억으로 지나간다. - 봄.. -
nestat - 네트워크 접속,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를 보여주는 도구
1. netstat -anv
: 네트워크 상태 및 연결을 나열하는 명령이다.
- netstat = network status !
- a 옵션은 모든 연결 상태를 표시 (all)
- n 옵션은 IP주소와 포트 번호를 숫자 형식으로 표시 (number)
- v 옵션은 보다 자세한 정보를 표시
따라서 이 명령은 모든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2. grep LISTEN
: netstat의 결과 중에서 "LISTEN" 상태인 연결만 필터링하는 부분이다.
- grep =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 !
- grep은 특정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 "LISTEN" 상태는 해당 포트가 들어오는 연결을 기다리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 명령은 "LISTEN" 상태에 있는 연결만을 남기고 나머지를 제거한다.
3. grep 24000
: 앞서 "LISTEN" 상태로 필터링된 연결 중에서 포트 번호가 24000인 연결만을 찾는 부분이다.
netstat - anv | grep LISTEN | grep 24000
kill -9 56035
(* 웬만해서 sudo를 쓰지 않고 사용하는게 좋다.)
sudo kill -9 56035

따라서, netstat - anv | grep LISTEN | grep 24000 명령은 시스템에서 현재 "LISTEN" 상태인 연결 중에서 포트 번호 24000으로 들어오는 연결을 찾는 명령어이다. 이를 통해 해당 포트가 현재 사용 중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netstat -anv | grep LISTEN | grep 24000 명령어를 잊지 말자.
반응형
'알아두면쓸데있는신기한잡학사전 > 고군분투흔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Lombok - Annotation 자동 작성 라이브러리, 언제 쓰이고, 어떻게 쓰이는가 (0) | 2023.06.19 |
---|---|
런타임(Runtime)과 컴파일 타임(Compiletime) (0) | 2022.11.02 |
[Project] 장고 프로젝트 생성 (0) | 2022.08.29 |
[Project] 장고의 구조와 MVT 패턴 (0) | 2022.08.29 |
[Tistory] 티스토리 배너에 깃허브 아이콘 넣어보기 (0) | 2022.08.23 |